제3차 국가 기후변화 적응대책 수립…기후안심 국가 구현
- 등록자관리자
- 등록일2020.12.14 00:00
- 조회수1,134
◇ ‘제3차 국가 기후변화 적응대책’ 녹색성장위원회 심의·확정
◇ 홍수‧가뭄 등 ‘8대 국민체감형 대표과제’ 선정하여 집중 추진
□ 환경부(장관 조명래)는 기후위험으로부터 안전한 국가를 구현하기 위한 ‘제3차 국가 기후변화 적응대책(이하 제3차 적응대책)’이 12월 14일에 열린 제45차 녹색성장위원회에서 심의, 확정됐다고 밝혔다.
□ 협치(거버넌스) 포럼(지역, 산업계, 시민사회, 청년, 전문가), 공청회, 국민토론회*, 부처협의회 결과를 반영하여 8대 분야 대표과제 선정·관리(41개 세부추진과제)
* 상습침수지역 주민대표, 농어민 대표, 산불·산사태 관련 전문가, 사회복지사, 건설현장 소장 등
* 자세한 내용은 첨부파일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홍수‧가뭄 등 ‘8대 국민체감형 대표과제’ 선정하여 집중 추진
□ 환경부(장관 조명래)는 기후위험으로부터 안전한 국가를 구현하기 위한 ‘제3차 국가 기후변화 적응대책(이하 제3차 적응대책)’이 12월 14일에 열린 제45차 녹색성장위원회에서 심의, 확정됐다고 밝혔다.
Ⅳ. 중점 추진분야 : 8대 분야 국민체감형 대표과제 |
□ 협치(거버넌스) 포럼(지역, 산업계, 시민사회, 청년, 전문가), 공청회, 국민토론회*, 부처협의회 결과를 반영하여 8대 분야 대표과제 선정·관리(41개 세부추진과제)
* 상습침수지역 주민대표, 농어민 대표, 산불·산사태 관련 전문가, 사회복지사, 건설현장 소장 등
대표과제 | 현장의견 | 주요대책 |
홍수 | 주민대피 알림 강화 | •돌발홍수 예보시스템 구축, 인공지능 기반 예보 |
상습침수지역 보호 | •하수관로 설계빈도 상향, 하수도정비 중점관리지역 확대 | |
가뭄 | 노후 상수관 누수방지 | •인공지능 기반 기반 상수도 스마트 관리체계 구축 |
물절약 홍보강화 | •체감형 가뭄정보 생산, 가뭄교육체험장 확대 운영 | |
생물대발생 | 혐오감·불쾌감 조성 | •대발생 가능종 정보제공, 친환경방제 안내서 보급 등 |
산림재해 | 산사태 조기경보 강화 | •산사태 예측 시스템 고도화(1시간 예측 → 단기예보) 등 |
산불취약지 정보제공 | •산불위험지도 구축, 정보통신기술 기반 산불감시 강화 등 | |
식량안보 | 대체작물 정보제공 | •미래 농업기후지도 생산, 적응형 품종 개발 |
농산물 안정 생산 | •농업부문 재해보험 개선(적정 보험료 부과·보상 등) | |
감염병·질환 | 행동요령 교육 강화 | •취약계층(경로당 등) 행동요령 설명회 |
•기후변화-건강관리 플랫폼(앱) 운영 등 | ||
취약계층 | 우선순위 단계별 지원 | •중점관리지역 선정방안 마련, 적응 기반시설 확대 •물품제공 및 주거환경 개선 등 |
야외노동자 보호 강화 | •이동식 쉼터 제공, 노동시간 단축·조정 등 | |
거버넌스 | 전문가 중심 → 국민체감 전환 | •시민생활실험실(리빙랩) 시범사업, 국민평가단 구성 등 |
* 자세한 내용은 첨부파일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첨부파일
- (신기후_12.14)_제3차_국가_기후변화_적응대책_수립_기후안심_국가_구현(보도자료)_20201214.pdf (400.39KB / 다운로드 156회)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