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EI 국가 기후위기 적응센터
주요 사업 방향과 비전
주요 사업 방향과 비전
KEI 국가 기후변화 적응센터는 2009년 7월 ‘대기환경보전법’ 제9조 2항에 따라 ‘국가 기후변화 적응센터’로 환경부 지정·설립되어 제1기(2010년~2012년), 제2기(2013년~2015년), 제3기(2016년~2018년), 제4기(2019년~2021년)까지 운영되어 왔습니다. 제5기(2022~2024) 부터는 탄소중립기본법 제46조에 따라 ‘국가 기후위기 적응센터’로 명칭이 변경되었으며 기후위기에 대응하기 위한 다양한 정책을 지원하고 기후적응 주류화 및 인식확산을 위하여 노력하고 있습니다.
환경부는 제5기 국가 기후위기 적응센터를 한국환경연구원(적응정책 수립·이행 지원 및 국내외 협력·홍보)와 국립환경과학원(과학적 기반구축) 두 개 기관에 복수로 지정·운영 중
주요 사업 방향
국가
- 「탄소중립기본법」 (약칭) 시행에 따라, 법적 구속력 있는 국가 기후변화적응대책 이행점검을 실효적으로 추진하고, 장기적으로 적응대책의 책임성 및 환류 체계를 확보함으로써 기후위기 적응 필요성 인식도 제고 및 기후위기 적응대책의 제도화·주류화를 추진할 계획입니다.
지자체
- 지자체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지방 기후위기 적응대책 수립 및 이행을 지원하고, 지자체 및 주민 간 협력·소통 기반 마련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공공기관
- 의무화된 기후위기 적응대책 수립의 첫 해로서, 공공기관 적응대책 수립의 제도적 안착 및 실효성 제고를 위한 기반을 마련하고 기후적응 담당자 대상의 교육과 적응대책 수립 및 이행을 위한 설명서 발간, 대상기관 분야별 협의체 구성 등 기후적응 정보 공유의 장을 만들 예정입니다.
취약계층
- 기후위기 취약계층 실태조사는 기후위기 취약계층의 범주 및 유형을 정의하고, 지원 사업의 사각지대를 파악하여 지자체의 적응 대책 지원 사업의 효율성을 높이는 것을 목표로 시행되고 있습니다. 이를 위해 기후위기 취약계층을 유형화하여 심층적으로 조사하고, 이들에게 미치는 주요 기후변화 영향과 지원 정책에 대한 수요를 분석합니다.
과학
- 적응센터는 기후변화 취약성 평가 도구(VESTAP : Vulnerability Assessment Tool to Build Climate Change Adaptation Plan)를 개발하고 지자체에 제공함으로써 적응대책 수립을 위한 과학적 분석에 필요한 예산, 시간, 인력을 절감하여 효율적인 대책 수립을 위해 지원합니다.
- IPCC 제6차 평가보고서 발간에 따라 개발된 공통사회 경제 경로(SSP : Shared Socioeconomic Pathways) 시나리오를 적용하여 기후변화 취약성 평가 도구를 개발하고자 합니다.
국내외 적응협력
- 적응센터는 2009년 설립 이래, 꾸준히 다양한 국내외 주체들과의 협력을 추진해 오고 있습니다.
- 국내적으로는 중앙·지방 정부, 학계, 산업계, 공공기관, 민간 등과 기존에 구축된 협력체계를 토대로, 기후위기 적응의 효과적인 이행을 위한 협력을 더욱 강화해 나갈 예정입니다.
- 국제적으로는 적응 국제동향을 파악하고, 국제사회 노력에 적극적으로 동참하며, 세계적으로 보기 드문 적응 전문기관의 경험을 발판 삼아 개발도상국 및 주요 국제기관·기구들과의 협력을 더욱 강화해 나갈 예정입니다.
적응 교육·홍보 및 총괄지원
- 국가기후위기적응센터 운영, 성과물 관리 및 제공, 기후변화 적응 정책 연구 및 사업 총괄·조정과 더불어 기후변화 적응에 관한 국내·외 이슈, 정책 동향 등을 홍보하며 적응 교육을 위한 다양한 활동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 적응대책의 실효성 및 국민 체감도를 제고하고 다양한 대국민 참여 기회 마련을 통해 적응 이행주체의 참여와 협력을 도모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