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변화 전망

전 지구적 기후변화 전망

지구 표면온도는 향후 몇십 년 동안 온실가스 감축 노력을 적극적으로 펼치지 않는 한 21세기 내 1.5℃ 또는 2℃ 이상 상승할 것으로 전망된다.

기온

21세기 후반기(2081~2100년), 지구표면 온도는 1.0~5.7℃까지 상승 전망

SSP1-1.9 시나리오 적용시 1.0~1.8℃ 상승 SSP2-4.5 적용시 2.1~3.5℃ 상승 SSP5-8.5 적용시 3.3~5.7℃ 상승 전망

해수면

21세기 후반 지구 평균 해수면은 0.28m~1.88m 상승 전망

SSP1-1.9 적용시 0.28~0.55m 상승 SSP2-4.5 적용시 0.44~0.76m 상승 SSP5-8.5 적용시 0.98~1.88m 상승 전망

강수량

고위도 및 적도 인근 태평양, 일부 몬순 지역에서는 증가 아열대·열대 지역에서는 감소 전망

IPCC 제6차 평가보고서 상 모의 결과

온도 변화
1.5°C 지구온난화 수준에서 모의된 변화
2°C 지구온난화 수준에서 모의된 변화
4°C 지구온난화 수준에서 모의된 변화 0 0.5 1 1.5 2 2.5 3 3.5 4 4.5 5 5.5 6 6.5 7 변화(°C) 온난화 ->
강수량 변화
1.5°C 지구온난화 수준에서 모의된 변화
2°C 지구온난화 수준에서 모의된 변화
4°C 지구온난화 수준에서 모의된 변화
(색상 범례 하단) 변화(%)
(색상 범례 좌우)
왼쪽: 건조함
오른쪽: 습함
(색상 범례 숫자들)
-40
-30
-20
-10
0
10
20
30
40

상대적으로 작은 절대 변화가 건조한 지역에서는 큰 비율(%)의 변화로 나타날 수 있다.

우리나라 기후변화 전망

21세기 말 우리나라의 이상기후 현상은 더욱 심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기온

지난 100년간 1.6℃ 상승, 현 추세대로 온실가스 배출시 21세기 후반기(2081~2100년), 6.3℃까지 상승 전망

SSP1-2.6 시나리오 적용시 2.3℃ 상승 / SSP2-4.5 적용시 3.5℃ 상승 / SSP3-7.0 적용시 5.4℃ 상승 / SSP5-8.5 적용시 6.3℃ 상승 전망

강수량

평균 강수량은 21세기 후반 현재 대비 4~16% 증가 전망*

* 21세기 전반은 큰 변화가 없으나, 21세기 후반 고탄소 시나리오(SSP5-8.5)에서 급증 전망, 강수일수는 시나리오에 따라 다르나, 약 10일~14일 감소 전망

강수량

극한 고온현상은 전국에서 증가*, 특히 고탄소 시나리오(SSP5-8.5)에서 증가추세**가 뚜렷

* 現 배출 추세시 연간 폭염일수 8.8일(2000~2019년)→79.5일(2090년)로 9배, 100년 빈도 극한강수량은 33~73% 증가 전망

** 고탄소 시나리오(SSP5-8.5)에서 폭염일, 열대야일은 21세기 중반 이후 뚜렷한 증가, 21세기 후반에는 중반 대비 두 배 이상 증가 전망

OPEN 출처표시, 상업용금지, 변경금지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