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가 방법 구분 |
장점 |
단점 |
정상적 평가 방법 |
다기준 의사 결정법 |
다기준 분석 |
환경 및 사회에 미치는 영향을 금전상으로 표시할 수 없는 경우 사용 가능 |
평가기준의 수가 많을 경우 우선순위 도출과정이 복잡해지고, 일관성 검증이 어려움 |
AHP |
상대적 중요도를 비율척도를 이용하여 정량화, 실증 분석과 엄밀한 수리적 검증 |
평가 대안의 수가 매우 많을 경우 과도한 이원비교를 수행해야 함 |
MAUT |
정량적, 정성적 가치 통합 가능, 조건에 따라 평가기준의 가중치 변화 및 평가대안의 추가 등 높은 유연성 |
효용함수 산출을 위해 평가기준에 대한 최대 ? 최소 구간을 설정해야 하는 번거로움 |
FUZZY |
실제 문제에서 발생하는 모호성과 불확실성을 효과적 처리 |
평가기준에 대한 의사와 전문가의 구체적 의견 반영 어려움 |
FUZZY-AHP |
명백한 하나의 특정 수치로 표현하기 어려운 AHP의 한계를 F판단구간을 적용해 극복 |
평가 대안의 수가 매우 많을 경우 과도한 이원비교 수행 |
정량적 평가 방법 |
기후변화 영향평가 |
미래 기후변화에 대한 예측 가능 |
환경 ? 사회 ? 경제적 변화 고려한 평가를 위한 집약적 데이터 필요, 불확실성 존재 |
기후변화 취약성분석 |
구체적인 적응정책의 방향성을 수립하는 데에 중요한 근거로 활용 가능 |
환경 ? 사회 ? 경제적 변화 고려한 평가를 위한 집약적 데이터 필요, 불확실성 존재 |
편익비용 분석 |
분석 과정과 결과의 이해가 용이하고 경제성 판단시 명확한 기준 제시 |
방법에 따라 결과가 왜곡될 수 있고, 사업의 불확실성과 비가역성이 클 경우 판단 어려움 |
비용효과 분석 |
가용할 수 있는 자료에 대한 높은 수준을 확인하거나 목적에 맞는 최소 비용 접근 |
비용편익분석과 같이 선택된 프로젝트가 사회에 순편익을 주는 지에 대한 정보 없음 |
주성분분석(PCA) |
서로 상관관계가 있는 변수들 사이의 복잡한 구조를 좀 더 간편하고 이해하기 쉽게 설명 |
많은 자료에 대해 시간과 노력 필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