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린인프라를 활용한 도시 리뉴얼 전략 수립 : 부산시 남구, 연제구 사례
사례지역 선정 이유
사례지역은 최근 집중강우로 인해 침수피해를 반복적으로 겪고 있을 뿐 아니라 2001∼2010년 풍수해 면적피해 밀도가 우리나라 전체 시·군·구의 2위를 했던 부산시 남구와 인접한 연제구로 선정하였다.
이 지역은 부산지역의 6·70년대 성장과 함께 발전한 구(舊)시가지로 부산의 전반적인 인구감소 추세와 더불어 도시의 물리적, 경제적, 사회적 쇠퇴를 경험하고 있어 도시 리뉴얼이 필요한 지역이다.
또한 최근의 기후변화 추세에 영향을 받아 2008년, 2009년, 2011년에 지속적으로 집중강우로 인한 침수피해를 경험한 지역이다. 본 사례 연구는 2009년에 발생하였던 집중강우에 대한 침수자료를 획득하였으며 총 160곳에 대한 침수정보를 활용하여 공간분석에 이용하였다.
사례지역 일반현황
사례지역 |
현황 |
부산시 연제구 |
- 부산시 전체면적의 약 1.58%인 12.08㎢ 차지
- 부산광역시 전체인구의 약 6% 차지
- 지형적으로 부산의 중심부에 위치해 있을 뿐 아니라 시청, 경찰청 등의 행정시설과 각종 업무·유통 시설이 모인 업무중심지역
- 연제구는 서쪽과 남쪽이 상대적 고지대이며 이를 제외하고 대부분(전체 면적의 약 64%)의 지역이 지형고도 50m 이하의 저지대로 형성
- 지형경사도 10% 이하 지역이 전체의 약 68%를 차지하고 있으며 경사 20%를 초과하는 급경사 지역은 전체면적의 약 12% 정도 |
부산시 남구 |
- 부산시 전체면적의 약 3.47%인 26.62㎢ 차지
- 부산광역시 전체인구의 약 8.4% 차지
- 북고남저형의 지형
- 전체 면적의 약 60%(0.65㎢) 정도는 지형고도 50m 이하의 저지대
- 지형경사 20%를 초과하는 급경사 지역이 전체의 약 23%를 차지해 비교적 경사지형이 많은 편 |
사례지역 위치
사례지역 그린인프라 및 재해피해 현황
부산시의 비오톱 자료와 한국토지정보시스템 GIS 자료를 활용하여 도시공원녹지(어린이공원, 체육공원, 근린공원 등)와 기타녹지(논, 밭, 과수원, 자연초지 등) 면적을 계산한 결과, 부산시 연제구는 0.59㎢, 남구는 2.57㎢의 그린인프라가 조성되어 있다. 이러한 결과는 각각 연제구 전체면적의 4.9%, 남구 전체면적의 9.7%에 해당하는 면적이다.
구분 |
행정구역 |
총 그린인프라 |
면적 |
비율 |
남구 |
26.62㎢ |
2.57㎢ |
9.7% |
연제구 |
12.08㎢ |
0.59㎢ |
4.9% |
부산시 그린인프라 면적 및 비율
부산시 연제구, 남구 그린인프라 분포
사례지역 재해피해 현황
남구에서는 최근 10년 동안 약 360억 원가량의 재산피해를 경험했으며 2003년에는 245억 원이 넘는 피해가 발생했다. 이에 비해 연제구는 10년간 38억 원 가량의 피해가 발생했으며 2009년 피해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남구, 연제구 모두 2009년 심각한 재산피해를 경험했으며 남구는 약 48억 원가량, 연제구는 38억 원가량의 피해가 보고되었다.
출처: 기후변화 적응형 도시 리뉴얼 전략 수립, 강정은 외, 2011,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년도 |
구 |
피해액 |
구 |
피해액 |
2001 |
남구 |
- |
연제구 |
- |
2002 |
남구 |
5,793,107 |
연제구 |
3,725 |
2003 |
남구 |
24,526,072 |
연제구 |
218,314 |
2004 |
남구 |
23,932 |
연제구 |
- |
2005 |
남구 |
468,554 |
연제구 |
108,182 |
2006 |
남구 |
412,526 |
연제구 |
74,923 |
2007 |
남구 |
- |
연제구 |
- |
2008 |
남구 |
- |
연제구 |
- |
2009 |
남구 |
4,836,762 |
연제구 |
3,405,851 |
2010 |
남구 |
- |
연제구 |
- |
최근 10년간 남구와 연제구 피해 현황
남구와 연제구 피해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