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
기후위기란?
전문지식·교육
기후적응정책
웹 평가도구
메타 자료실
관련네트워크
제목
도시 리뉴얼과 그린 인프라 - 그린인프라
인프라(인프라스트럭쳐, infrastructure)는 도시기반시설을 의미한다. 도시 인프라는 도로, 철도, 교량 등의 그레이 인프라(gray infra, 회색 인프라)와 병원, 학교, 우체국, 소방서 등 사회 인프라, 그리고 공원, 녹지 등의 그린인프라(녹색인프라), 하천, 강 등의 블루 인프라로 구성된다. 이러한 인프라 시설은 도시의 뼈대를 형성하며 이러한 인프라들이 균형을 이루어야 도시의 기능을 잘 유지하고 바람직한 도시 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양홍모, 2011)

그 중에서 그린인프라는 공원, 숲, 습지, 홍수터, 그린벨트, 그린웨이 등과 같이 인간의 삶의 질을 높이고 물순환과 홍수조절과 같은 생태계의 서비스를 증진시키는 인프라로 정리할 수 있다. 또한 도시의 환경적 목표나 지속성을 달성시키는 다양한 기술이나 기법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Center for Clean Air Policy, 2011)으로 진화되고 있다.

 
저자 정의
Randolph(2004) - 자연적 생태가치와 인간에게 다양한 혜택을 주는 녹지공간의 연결된 네트워크
Benedict, McMahon(2006) - 생태계의 가치와 기능을 보전하고 깨끗한 공기, 물을 유지할 뿐 아니라 인간과 동물에게 다양한 편의를 제공하는 자연지역과 오픈 스페이스의 상호 연결된 네트워크
- 전략적으로 계획되거나 지역적으로 관리되는 보전·녹지지역의 네트워크
EPA(2008) - 도시화와 개발로 인한 불투수층 증가가 자연적인 물순환 체계에 변화를 가져오고 이러한 현상이 도시홍수와 밀접한 관련이 있음에 주목하여 우수관리(stormwater management)의 개념을 확장하여 그린인프라 관리 제시
- 도시공간 속에서 자연적인 물의 선순환 과정에 가깝게 만드는 기술, 정책들을 의미
- 공원, 정원, 녹지지대, 수로 뿐 아니라 옥상녹화, 가로수, 나무상자, 투수포장 등의 시설 및 기술 포함
EPA et al(2007) - 우수, 유출수를 흡수(infiltration), 증발(evapotranspiration), 재활용(reuse)하는 자연적인 물의 순환과정과 비슷하게 만드는 시스템이나 기술
그린인프라(green infrastructure)의 정의
(출처: 기후변화 적응형 도시 리뉴얼 전략 수립, 강정은 외, 2011,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구분 대분류 소분류 적용범위
보존지역 (hubs) 도시공원과 정원 도시공원, 근린공원, 어린이공원, 공공정원, 커뮤니티 정원 등 도시지역 적용
도시녹지 공간 주거지역 녹지, 상업녹지, 주택정원, 마을공지, 운동장 및 레크레이션 공간, 수변완충 녹지 등
기타녹지 공간 텃밭, 도시농장, 묘지, 빗물정원, 식생수로, 도시습지 등
시설물 및 기법 홍수 및 우수 관리시설(저류지, 유수지 등), 녹색지붕, 가로수, 나무상자, 투수성 포장, 우수저장통 등
자연녹지 공간 홍수터, 습지, 삼림과 숲, 유수지, 보전지, 목초지, 야생동물 서식지 등 도시 외 지역적용
연결망 (links) 녹색거리(green street), 그린벨트(green belt), 그린웨이(green way), 경관 연결지, 보존 벤트 등 모든 지역
그린인프라 구성요소
(출처: 기후변화 적응형 도시 리뉴얼 전략 수립, 강정은 외, 2011,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최근 EPA(2008b)는 “National Water Program Strategy: Response to Climate Change”를 통해 그린인프라를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주요 전략으로 여기고 있음을 분명히 밝히고 있다. 뿐만 아니라 다양한 연구들과 도시들(뉴욕, 맨체스터, 필라델피아 등)이 그린인프라 구축을 도시 리뉴얼의 이상을 실현시키는 중요한 수단일 뿐 아니라 기후변화에 적응하기 위한 중요한 전략으로 인식하고 있다.

재해예방(hazard mitigation), 기후변화적응(climate change adaptation)과 같은 최근 이슈들과 맞물려 그린인프라가 주요 전략으로 각광받고 있는 것은 그린인프라의 다양한 효과에 그 원인이 있다. 그린인프라의 다기능성과 효과는 그린인프라 조성의 필요성과도 직접적으로 연결된다.

 
분야 효과
기후변화 / 재난재해 - 홍수 및 우수유출 감소
-  도시 열섬효과 감소
- 탄소저장 격리를 통한 기후변화 완화
- 대기오염 개선
환경적 - 수량, 수질 보호
- 공기정화
- 생태계 다양성 보존
사회적 - 사회적 소통 증가
- 범죄 감소
- 물리적 활동기회, 운동기회 증가
- 물리적 활동기회, 운동기회 증가
- 도시경관, 미적 쾌적성 향상
경제적 - 지가상승
- 지역관광산업 증진
그린인프라의 효과(benefits, values)
(출처: 기후변화 적응형 도시 리뉴얼 전략 수립, 강정은 외, 2011,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첨부파일
세종특별자치시 한누리대로 411, KT&G세종타워A (어진동 539) 5층 한국환경연구원 국가기후위기적응센터
TEL +82-(0)44-415-7845 FAX 82-44-415-6770 EMAIL kaccc@kei.re.kr
COPYRIGHT © 2017 KOREA ADAPTATION CENTER FOR CLIMATE CHANGE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