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단계 : 리스크 스크리닝 | - 리스크 스크리닝 단계는 문헌고찰, 컨설팅 등을 통해 분야별 리스크 목록을 구성 - 리스크 발굴, 체계적인 방법을 통해 부문 내, 부문간 연결고리를 구성 |
2단계 : 리스크 선택 | - 리스크의 가능성과 정도, 그리고 적응정책의 시급성을 고려하여 점수화 - 리스크 평가를 위해 리스크 매트릭 코드를 활용하여 코드화하여 100개의 리스크 압축 |
3단계 : 취약성 평가 | - 미래의 리스크로부터 영향을 받는 비기후적 요소에 관한 것으로 기후변화로 인해 나타나는 리스크가 사회, 경제, 조직 등에 어떤 영향을 줄 것인지 평가 |
4단계 : 현재 리스크 이해 | - 현재의 리스크에 대한 이해 단계는 리스크의 정도와 관련되는 최신 정보를 수집 |
5단계 : 미래 리스크 이해 | - 각 부문의 민감도 이해를 포함하는 단계 - 잠재적 리스크 요인에 대한 질적 평가 포함 |
1단계 : 위협(threats)과 기회(opportunities)파악을 통한 리스크를 평가 | - 보고기관은 사용 가능한 모든 증거를 근거해, 해당 기관의 기능 및 운영에 미칠 현재와 미래의 기후변화 영향을 평가해야 하며, 특히 평가에는 미래에 일어날 수 있는 기후변화에 의한 해당 기관의 위협과 기회에 대한 내용이 포함되어야 한다. - 동 단계에서는 현 상태의 취약성과 전망된 영향의 이해를 통하여, 미래 기후변화에 대한 위협과 기회를 파악할 수 있으나, 미래 기후변화 값들은 언제나 불확실성을 수반하고 있기 때문에 리스크평가 접근법은 유연해야 한다. |
2단계 : 적응 계획 작성 | - 위험평가는 적용 가능한 적응 방안들을 개발하기 위해 리스크 요소들의 우선성이 파악되어야 한다. 또한 위험 평가에 항상 수반되는 불확실성 및 상호의존성은 적응방안을 개발할 때 기관들이 유연해야 함을 강조하고 있다. - 제시된 적응 방안들은 경제, 환경, 사회적으로 지속개발가능한지가 파악되어야 하며, 저탄소 경제 체계에서 필수적인지도 고려되어져야 한다. |
3단계 : 적응 계획 이행 | - 적응 계획을 작성하고 나면, 다음 단계는 적응 방안의 실행 및 그 방안의 취약성 저감효율성 평가이다. 이때, 적응 계획의 역효과를 방지하기 위해 또 다른 위험 평가 및 기존의 적응 방안외 기타 방안에 대한 분석이 수반될 수 있다. - 실행될 적응 방안은 단 한번의(one-off) 적용 또는 기능과 상관이 단독적으로 적용되는 방안이 아니라, 각 해당기관의 비즈니스 중심에 녹아 함께 운영되어야 방안임을 명심해야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