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
기후위기란?
전문지식·교육
기후적응정책
웹 평가도구
메타 자료실
관련네트워크
제목
기후변화 경제학적 분석Ⅲ - 산림생태계
기후변화로 인한 생태계 영향으로는 산림분포 변화, 산림기능 변화, 산림재해가능성 변화, 생물군계 분포변화, 지역생물다양성 변화 등이 있음
우리나라는 국토의 64% 정도가 산림으로 이루어져 있어 물질 생산과 대기 중 이산화탄소 흡수, 수원함양 등 산림생태계11)로부터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 받고 있음

분석 대상 : 산림분포, 산림기능(잠재순일차생산량과 토양탄소저장량), 산림재해(산불과산사태)에 의한 경제적 영향

분석 방법 : 시도 단위로 경제적 비용을 평가하여 과거를 현재의 상태로, 가까운 미래와 먼 미래를 변환된 상태로 가정하여 미래의 상태와 과거의 상태를 비교 - 각 시점은 과거 1985년, 가까운 미래 2035년, 먼 미래 2085년을 기준 시점으로 선정

연구 결과 :
(산림분포) 식생대의 면적 분포는 기온 상승으로 인하여 난대와 열대 식생대의 면적이 증가하고 냉대와 한대의 면적은 감소하여 목재만을 대상으로 하는가치는 하락함
(산림기능) 순일차생산량의 분석결과 재적의 변화는 가까운 미래에 가장 낮으며 특별시 및 광역시에서 지속적인 감소 추세가 나타남. 토양탄소저장량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감소하며 미래로 갈수록 감소 정도가 가속화됨
(산림재해) 기후변화에 따른 미래의 산불 가능성 및 산사태 취약성은 미래로 갈수록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남
산불 취약성: 전체적으로 인구밀도가 높은 광역시의 취약성이 비교적 높음
대구시 > 부산시 > 광주시 > 인천시 > 서울시 > 대전시 > 울산시 > 경기도
산사태 취약성: 산림밀도가 낮은 지역, 주거 및 상업지역은 집중호우 때 산사태의 위험도 증가

산림에 대한 경제적 영향을 종합한 결과(단, 산림분포의 경제성 평가 결과는 제외) 시점별 경제적 피해비용은 2020년에는 1,161억원, 2050년에는 2,037억원, 2100년에는 3,301억원으로 점차 증가함


시기별 식생대의 목재의 가치
(출처 : 채여라 외, 우리나라 기후변화 경제학적 분석Ⅲ,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12)
첨부파일
세종특별자치시 한누리대로 411, KT&G세종타워A (어진동 539) 5층 한국환경연구원 국가기후위기적응센터
TEL +82-(0)44-415-7845 FAX 82-44-415-6770 EMAIL kaccc@kei.re.kr
COPYRIGHT © 2017 KOREA ADAPTATION CENTER FOR CLIMATE CHANGE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