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문 | 1차년도 연구 | 2차년도 연구 |
시나리오 | - A1B(한국 특징적 시나리오 제시되지 않음) | - 우리나라 주요변수들을 포함하여 2100년도까지 다양한 시나리오 제시 - 기후변화시나리오(세계 및 한반도 지역기온) - 사회경제시나리오(인구, GDP등) - 에너지 및 기술개발 시나리오(에너지 수요 및 공급, 국내 산업구조 변화 등) - 온실가스 감축 시나리오 - 토지이용 시나리오(주거 및 농업용 토지이용) |
수자원 | - (1차년도 연구에 포함되지 않음) | - 주요 유역(한강, 낙동강, 금간, 영산강)을 중심으로 기후변화에 따른 강수량 및 유출량 예측 - 기후변화가 댐의 저수용량에 미치는 영향 도출하여 피해비용 산출 |
산림생태계 | - 산림식생분포의 변화 예측 : 침엽수림, 활엽수림(가시나무류군락 포함), 침활혼효림 대상으로 예측 |
- 기후변화에 따른 산림분포 변화, 산림기능 변화 및 산림재해(산불, 산사태) 가능성 변화 분석을 통한 피해비용 산출 |
식량 | - 벼 생산량 변화 예측 : 전라도 단위 면적당 벼 생산량을 중심으로 예측 |
- 벼 생산량에 대한 추가적 분석 : 30년 평년의 기상자료가 구축되어 있는 전국 56개 지역(도서지역, 대관령, 추풍령지역 제외) : 보리 생산량에 대한 분석 : 기후변화가 농업이윤에 미치는 피해비용 산출 |
건강 | - 여름철 이상고온으로 인한 초과사망 피해 추정 : 서울시를 대상으로 예측 |
- 여름철 이상고온에 따른 초과사망자를 전국단위로 산출 : 이상고온에 따른 초과사망자를 화폐학적 비용으로 추정하여 기후변화의 피해비용 산출 |
연안 | - 해수면 상승에 따른 습지와 건조지역의 침수면적 및 피해가치 산출 | - 해수면 상승에 따른 우리나라 해안사빈(모래사장)의 침식(후퇴)를 예측 : 연안지역의 주요 관광자원의 하나인 해수욕장을 대상으로 피해비용 산출 |
재해 | - 기후변화로 인한 대표적인 재난에 대한 현황 및 향후 예측 자료 조사 | - (2차년도 연구에서는 부문별 재난 예측 포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