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로운 온실가스 시나리오(RCP)소개
- IPCC 4차 평가보고서(AR4, 2007)에 사용한 SRES 온실가스 시나리오를 대신하여 IPCC 5차 평가보고서(AR5, 2013)에서는 대표농도경로 RCP(Representative Concentration Pathways)를 새로운 시나리오로 사용하며, RCP 시나리오는 최근 온실가스 농도변화 반영 및 최근 예측모델에 맞게 해상도 등을 업데이트 하였다.
- IPCC 4차보고서에서 사용된 SRES에서는 미래의 사회·경제 형태가 가장 먼저 결정되고 이에 따른 배출량 시나리오로 온실가스 농도가 정해지는데, 이러한 순차방법은 분리된 각 시나리오 간의 정보 전달에 시간 지연이 일어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IPCC 5차보고서에서는 인간 활동이 대기에 미치는 복사량으로 온실가스 농도를 정함. 대표적인 복사 강제력에 대해 사회-경제 시나리오는 여러 가지가 될 수 있다는 의미에서 ‘대표 (Representative)’라는 표현을 사용하고 온실가스 배출 시나리오의 시간에 따른 변화를 강조하기 위해 ‘경로 (Pathway)’라는 의미를 포함한다.
시나리오 |
개념 |
RCP(Representative Concentration Pathways |
온실가스 농도값을 설정 후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산출하여 그 결과의 대책으로 사회·경제 분야별 온실가스를 배출 저감 정책 결정 |
SRES(Special Report on Emission Scenario |
RCP와 달리 사회·경제유형별 온실가스 배출량을 설정 후 기후변화 시나리오 산출 |
IPCC 4차 및 5차보고서 시나리오 개념 정리
구분 |
기존 시나리오 |
새로운 시나리오 |
비고 |
활용 |
IPCC 4차 평가보고서(AR4)(2007) |
IPCC 5차 평가보고서(AR5)(2013) |
- |
온실가스 시나리오 |
SRES(1990년대말) |
RCP(2010년) |
- |
사회경제학적 가정 |
사회구조 변화에 따른 온실가스 배출 고려 |
기후변화 대응정책 수행여부에 따른 온실가스 농도 고려 |
- |
예측모델 |
에어로졸 변화 고려 |
토지이용도변화 추가 및 한반도 상세지형 반영 |
기후변화에 영향을 주는 다양한 요소 고려 |
격자간격 |
전지구 |
400km |
135km |
약 9배 상세 |
한반도 |
27km |
12.5km |
약 4배 상세 |
남한 |
10km |
1km |
100배 상세 |
IPCC 4차 및 5차보고서 시나리오 비교
RCP 시나리오는 아래 표와 같이 총 4종으로 구성된다.
구분 |
특징 |
특징 |
RCP 2.6 |
인간 활동에 의한 영향을 지구 스스로가 회복 가능한 경우(실현불가) |
420ppm 이산화탄소 농도 |
RCP 4.5 |
온실가스 저감 정책이 상당히(RCP 4.5) 실행되는 경우 |
540ppm |
RCP 6.0 |
온실가스 저감 정책이 어느 정도(RCP 6.0) 실현되는 경우 |
670ppm |
RCP 8.5 |
현재 추세(저감 없이)로 온실가스가 배출되는 경우(BAU 시나리오) |
940ppm |
RCP 시나리오 특징
RCP 시나리오에 따른 이산화탄소 농도(세로: 이산화탄소 농도, ppm / 가로 : 년도)
(출처 :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알면 미래가 보인다, 2012, 기상청, 기상청홈페이지)
새로운 온실가스 시나리오(RCP) 전망
전지구 전망
기후변화를 완화하기 위한 노력 없이 현재 추세대로 온실가스를 배출하여 21세기말 이산화탄소 농도가 940ppm에 도달한다면(RCP 8.5), 21세기말(2070~2099년)에 전 지구 평균기온이 4.8℃ 상승되고 강수량은 6.0% 증가 전망 예상된다. 그러나 어느 정도 저감 노력이 실현된다면(RCP 4.5), 2.8℃ 기온 상승과 4.5% 강수량 증가가 전망되어, 저감 노력에 따라 전 지구 기온 상승률은 더 낮아질 수 있다.
|
|
온실가스 감축정책 수립 시(RCP 4.5) |
온실가스 배출 현재 수준 유지시(RCP 8.5) |
전지구 평균 |
기온 상승 |
+2.8 ℃ |
+4.8 ℃ |
강수량 증가 |
4.5% |
6.0% |
한반도 전망
- 기후변화를 완화하기 위한 노력 없이 현재 추세대로 온실가스를 계속 배출한다면(RCP 8.5), 21세기말(2070~2099년)에 한반도 평균기온은 6.0℃ 상승, 강수량은 20.4% 증가가 예상되고, 어느 정도 저감 노력이 실현된다면(RCP 4.5) 3.4℃ 기온 상승과 17.3% 강수량 증가 전망 예상된다.
- 이와 같이 기온과 강수량은 감축정책 수행 시와 온실가스 배출 현재수준 유지 시 모두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으나, 감축정책 수행으로 그 속도를 조절 할 수 있을 것 이라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