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 | |
COP18 카타르, 도하 | - 2012년까지로 만료되어야 할 교토의정서의 효력을 2020년까지 연장 - 2020년 이후에 나타날 새로운 기후변화 대응 체제를 2015년까지 마련 |
링크 | |
COP19 폴란드, 바르샤바 | - 주요 핵심 의제에 대한 당사국 간의 의견 조율을 위한 중재안 부재로 향후 결정문 채택 및 협상 타결은 쉽지 않을 전망 - 선진국 및 개도국간의 가교역할을 충실히 이행하는 우리나라는 감축활동의 투명성 확보를 위한 집중적인 시장/비시장 인프라 구축 필요 |
링크 | |
COP20 리마 | - 기후변화에 관한 확고한(indelible) 행동방향 수립이며, 기후변화에 대한 글로벌 합의를 이끌어내고 ‘15년 배출량감축을 위한 각국의 구체적 방안을 논의 - 저개발국을 비롯한 각국들이 기후변화에 잘 적응할 수 있도록 지원을 강화하고 ‘감축’만큼 ‘적응’에도 정치적 관심을 집중하는 것 - 취약국을 위한 기후금융을 확대하며, 마지막으로 기후변화의 피해를 줄일 수 있는 관련기술에 대한 정부‧기업‧기관의 투자를 촉구 |
링크 | |
COP21 프랑스, 파리 | - 장기 목표와 관련하여 섬 국가 등 취약 국가에 1.5도 목표의 중요성을 인식한다는 것은 특별한 반대의견이 없었으며 이러한 목표를 구현하는 방법에 대해 논의 - 기존 선진국과 개도국이라는 구분이 변화하는 신흥국의 출현으로 의해 변화가 보인다는 인식은 공유되었으나 많은 개도국이 선진국의 역사적 책임을 거론하는 동시에 개도국의 약속 초안의 이행에는 지원이 필요하므로 선진국과 개도국의 차이 강조] - 2020년 이후 자금에 대해서는 선진국에서는 기증자 층의 확대 등을 주장한 반면, 개도국은 선진국에서 개도국으로의 지원이라는 종래의 골조를 변경할 필요가 없으며, 2020년 이후에도 적응에 대한 지원 확대 필요 등을 주장 |
링크 |